음악/Classical Music

Beethoven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61

Veronica Kim 2013. 4. 5. 17:17

"이것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61
Ludwig Van Beethoven, 1770 ~1827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61

 

 

          1. Allegro ma non troppo 23:15

          2. Larghetto 08:16

          3. Rondo 09:34


 

 

베토벤은 9편의 교향곡 이외에도 수 많은 실내악곡을 썼지만,

바이올린 협주곡은 이 곡밖에 쓰지 아니했다. 그러나 오늘까지 이 분야에서

왕좌를 지키고 있는 이 곡은 거의 전무후무의 걸작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 이다. 10편의 바이올린 소나타와 관현악 반주로 된

한편의 협주곡은 베토벤에게 있어서 바이올린 곡으로서의 총결산이기도 하다.

이 곡의 아름다움과 장대함은 바이올린곡 중에서 왕좌에 오를 만큼

적합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지금까지 이 곡을 능가할 정도의 작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곡이 왕좌로서 인정을 받기까지는

상당한 세월을 필요로 했던 것이다.

이 곡은 초연 이래 거의 아무도 거들 떠 보지 않았으나

1812년에 이르러 베를린에서 토마지니가, 1828년에 파리에 서 베이요가,

1833년에 빈에서 비외탕이,

1836년 라이프찌히에서 우를리히가 제가끔

불굴의 악성에게 경의를 표하 기 위한 뜻에서 채택한 정도였으며,

그 이상은 취해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이 곡의 참된 가치가 세상에 인정 받게 되어 바이올린 협주곡의 왕좌를 차지하게 된 것은

당대의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이 이것을 부활시키고 부터이다. 그는 1884년 5월 27일 멘델스존의 지휘로

불과 13살의 나이로 이 곡을 채택해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곡과 헤어지지 않았다.

또한 이 곡의 카덴짜는 피아노 협주곡과 같이 작곡자인 베토벤은 스스로 적어놓지 않았다. 그리하여 여러 사람들 이 손을 대었으며,

요아힘도 그 중의 한 사람이다. 이밖에 아우어, 크라이슬러의 것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맨스와는 달리 남성적이고 쓰라린 인생의 체험을 담은 베토벤의 이 곡은

여성적이고 감미롭기 그지없는 멘델스 존의 협주곡과는 너무 대조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베토벤은 고향에 있을 때, 혹은 빈의 초기 시대에 C장조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는데,

이것은 미완성으로 그쳤기 때문에 실제로는 D장조만이 그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인 셈이다.

이 곡은 빈의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친필 악보의 일부로

1806년 안 데어 빈 극장의 카페르마이스터였던 클 레멘트를 독주자로 예정하고 작곡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구스타프 노테봄에 의하면, 원래는 C단조의 교향곡 제1악장의 스케치 가운데 이 바이올린 협주곡의 제1악 장의 초고와

끝악장의 론도의 최초의 주제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아마 베토벤의 것으로는 비교적 짧은 시일에 즉, 1806년 내에 완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마지막 손질은 늘 한정된 날짜까지 겨우 완성시키는 것이 상례였는데, 이 곡도 역시 그러한 전례를 벗어나 지 못했다.

즉, 독주자인 클레멘트는 초연 날짜인 12월 23일에야, 처음으로 악보를 대하고 연주하지 않으면 안되었 다는 일화도 있다.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D장조 4/4/박자

협주풍의 소나타 형식의 악장이다. 갑자기 팀파니가 p로서 시작한다. 이러한 시작은 지금까지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었고,

또 이 리듬은 전 악장을 통해서 중요한 활동을 한다고 하겠다.

두 번째 마디부터 소리가 나기 시작하여 플루트를 제외한 목판이 제1주제를 제시한다. 이 주제는 부드러우며 평화 롭고 더욱이 웅대한 멜로디이다. 팀파니의 리듬은 현악기로 옮아간다. 클라리넷과 파곳은 주제의 멜로디를 받아서 이어가며 그 뒤는 경과부가 되어 제2주제를 인도한다.

제2주제도 P로 플루트를 제외한 목관으로 제시된다. 간단하면서도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아름다운 멜로디로서,

현 악기군에 넘겨져 되풀이된다. 다시 경과부를 거쳐 특징있는 코다의 주제가 제1바이올린으로 여리게 나타나

관현악 만에 의한 연주로 전주부분을 마친다.

이윽고 독주 바이올린이 즉흥적인 카덴짜를 연주하면서 나타나 부드럽게 제1주제에 장식을 더하면서 높다랗게 노 래한다.

현악기군이 처음의 팀파니의 리듬을 새기며 클라리넷과 파곳이 먼저 경우와 같이 앞의 멜로디를 받아서

발전의 부분이 되어 독주 바이올린이 섬세하게 장식적으로 활동한다.

독주 바이올린의 트릴에 실려서 제2주제가 먼저와 같이 클라리넷과 파곳으로 연주되는데,

이것은 다시 현악기군으 로 되풀이되어 거기에 독주 바이올린이 눈부시게 감돈다.

코다가 있은 뒤 탄력이 잇는 독주 바이올린은 섬세하게 움직여 p로부터 크레센도되어 f까지 높아져 여기에서 제시 부는 끝을 맺는다.

전개부는 관현악만의 전합주로 시작된다. 긴 합주 뒤에 독주 바이올린이 카덴짜풍으로 들어와서 그 뒤에 주요 주 제를 연주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장식된 모습으로 정성들여 발전한다. 재현부에서는 ff로서 관현악만의 전합주로 제1주제를 연주함으로 시작한다.

독주 바이올린이 눈부시게 활약하며 제 2주제가 모습을 보이고 코다부도 다시 나타난다.

드디어 마지막에 가까워짐이 암시되는데 그로부터 카덴짜가 시작 된다.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이 부분은 작곡자인 베토벤 스스로가 작곡하지 않았다.

카덴짜의 뒤 독주 바이올린은 제2주제를 부드럽게 노래하기 시작하며, 일단 점점 여려져서 pp까지 되나,

이윽고 크 레센도되어 ff로서 힘차게 으뜸화음을 전합주로 연주하고 끝마친다.

제2악장 라르게토 G장조 4/4박자

변주곡 형식의 악장. 아름다운 주제가 먼저 아주 여리게 약음기를 붙인 현악기군만으로 제시된다.

안식에 넘치는 아름다운 선율이다. 곡은 주제와 세 개의 변주로 되어 있는데 제1변주는 클라리넷이 주제를 연주하며,

독주 바이올린이 장식적으로 그 사이를 누빈다.

제2변주는 주제의 멜로디가 파곳으로 연주되며 독주 바이올린이 장식적으로 역시 그 사이를 누빈다.

제3변주는 관혁악만의 센 연주로 시작되어 바이올린이 카덴짜풍으로 높고 낮게 춤추듯이 새로운 멜로디를 칸타빌 레로써 연주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화려한 변주가 있은 뒤, 지금의 새로운 멜로디로 또 새로이 단장을 하여 화려 하게 나와서

이윽고 여려져 ppp가 되어 꺼질 듯이 사라진다. 카덴짜를 거쳐 곧 다음 악장으로 이어진다.

제3악장 알레그로 D장조 6/8박자

론도 형식의 악장. 갑자기 독주 바이올린이 G선에서 여리게 론도 주제를 제시한다.

얼마간 끈덕진 느낌의 것이기 때문에 인상적으로 느껴진다. 페르마타가 있은 뒤, 독주 바이올린은 높게 뛰어오르며

그 두 옥타브 위에서 이 주제 를 되풀이한다. 또 페르마타가 있은 뒤 독주 바이올린을 제외한 나머지 관현악의 전합주로서

ff에서 이 주제가 힘 차게 되풀이된다.

그 뒤 독주 바이올린이 부주제의 맨처음 것을 유도해 간다. 이것도 매우 인상적인 멜로디이다.

독주 바이올린이 섬 세하게 활동하는 경과부가 있은 뒤 독주 바이올린에 의한 론도 주제가 다시 돌아온다.

이것은 다시 두 옥타브 위 에서 되풀이되며 독주악기를 제외한 나머지 관현악의 전합주로 론도 주제가 다시 모습을 보인다.

독주 바이올린이 다시 나타나 론도 주제를 받아서 이것을 변형시키는데 뒤에는 부주제를 유도해 온다.

다시 독주 바이올린과 전 관현악의 연주가 되풀이되고 독주 바이올린이 눈부신 기교를 보여주며,

드디어 마지막 솜씨를 보이는 카덴짜로 돌아간다.

이것이 끝나면 론도 주제의 주요 주제를 바탕으로 하여 찬란히 빛나는 클라이맥스를 만든다.

드디어 장대하고 웅장한 베토벤의 걸작은 이리하여 끝을 맺는다.

 

지휘 : 정명훈(1953~  )

KBS 교향악단, 1985년 연주

              

 

 

Conductor : Klauss Tenstedt(1926~1998 독일)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Recorded in1989